돈버는 이야기/비즈니스

주식 매도 시기 타이밍 알아내는 방법

30대 퇴사남 생존기 2021. 10. 6. 00:34
반응형

주식 매도 잘하는 방법

비합리적으로 매수 매도 버튼을 누르는 것만 안 해도, 투자 수익률을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심리학적으로 투자자는 이익보다 손실에서 고통을 2배 더 크게 느낍니다.

- 이성을 찾기만 해도 더 나은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겪어야 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은 누가 뭐래도 갑작스러운 주가 하락입니다. 물론 천천히 하락하는 것 또한 투자자는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행동경제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수익을 얻을 때 보다 손실을 겪을 때 두 배 더 깊게 감정을 느낀다고 합니다.

 

 

투자자 모두가 손실에 고통을 겪습니다.

이것은 투자의 대가도, 개미 투자자도 인간이기 때문에 모두가 똑같이 느끼는 특성입니다. 즉 손실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은 투자자 모두가 느끼는 감정입니다. 따라서 초연하게 걱정이나 우려가 속부터 끓어오르더라도, 급하게 반응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즉 감정에 따라 매매를 좌지우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투자 손실로 고통을 겪는 사람
손실에 대한 고통

 

투자자들의 투자자 워렌버핏은 이러한 시장의 변동성을 버티지 못하는 사람은 큰돈을 투자해서는 안된다고 말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동성을 참기 어려워합니다. 하지만 경험이 많고, 꾸준한 성과를 낸 성공한 투자자들은 현재의 손실을 겪더라도 더 장기적인 미래 잠재력에 집중할 수 있을 만큼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습니다. 즉 멘탈이 강합니다. 물론 이들이 손실에 대해 고통을 못 느끼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의 변동성 인정하기

투자의 대가들은 시장은 원래 변동성으 크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단기 변동성에 대해 최고의 대처방법은 당장 눈앞에 보이는 손실에 집중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투자 손실시 마음 다스리는 법

첫 번째,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은 기업 자체의 사건이라기보다 당시 경제 사건에 더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경제 상황은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시 경제적 요소는 물론 기업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일부 기업들은 일반적인 기업들보다 인플레이션 상황에 대해 대처를 더 잘 해낼 수 있으며, 경기 침체 시에도 다른 기업에 비해 매출 감소가 덜 할 수도 있습니다.

 

주식 매도 시기 알아내는 방법

안타깝게도 주식을 정화히 언제 매도해야 한다는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투자의 대가들의 조언을 참고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워렌 버핏이 말하길 주식을 팔아야 하는 타이밍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합니다.

 

애초에 예상했던 상황이 크게 바뀐 경우, 그리고 더 나은 투자처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워렌 버핏 강연 장면
투자의 대가 워렌버핏

 

작년 3월 코로나가 발생하고 워렌버핏이 보유하고 있던 항공주 지분을 매도하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몇몇 전문가들은 워렌버핏이 실수를 하는 것이라고 봤지만, 꼭 그렇게만 바라보기는 어렵습니다. 당시 급속도로 세상이 변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어떤 영향을 얼마나 길게 가져갈지 평가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기업 분석만이 답이다.

다양한 경제 상황속에 회사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아내는 방법은 기업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투자하기 전부터 해당 기업이 다양한 시나리오 속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 미리 체크하는 것입니다. 불확실성을 미리 대비한다면,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초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공부하는 사람
철저한 분석

 

철저한 분석만이 시장이 흔들릴 때 감정보다 이성에 따르는 현명한 투자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워렌 버핏도 투자를 실행할 때 회사를 움직이는 요소는 무엇인지, 수익 구조는 어떻게 짜여 있는지, 어떤 환경이 회사의 매출을 올리는지 내리는지 연구하는데 몇 주, 몇 달을 보냅니다. 이러한 기업분석은 환경이 변할 때 연구했던 정보들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